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업급여 계산기 (+자동 계산)

by 팔팔한 인생2 2025. 7. 17.

실업급여 계산기, 어떻게 쓰는지부터 꼭 확인하세요!
퇴사 후, 가장 먼저 궁금한 건 역시 실업급여 계산기를 통한 수급액 확인이죠. 특히 2025년에는 실업급여 상한액까지 조정될 예정이라, 계산기 활용은 더욱 중요해졌어요. 단순한 추정이 아니라 고용노동부가 제공하는 공식 계산 툴을 활용해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답니다.

실업급여 무료 계산기 바로가기 👈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 계산기를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부터, 계산 공식, 실제 계산 예시, 그리고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주의사항까지 모두 정리해 드릴게요.

실업급여 부정수급 처벌 바로가기 👈

실업급여 계산기란 무엇인가요?

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

실업급여 계산기는 고용노동부나 워크넷에서 제공하는 공식 온라인 도구로, 사용자가 자신의 월급, 퇴직일, 근속기간, 나이 등을 입력하면 예상되는 실업급여 수급 금액과 기간을 자동으로 계산해줘요.

이 계산기는 일일이 계산식을 외울 필요 없이 간편하게 결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퇴직을 앞두고 있는 분들, 혹은 퇴사한 지 얼마 안 된 분들께 꼭 필요한 도구예요.

하지만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선 몇 가지 입력값을 준비해 두셔야 해요.

📝 필요한 정보

  • 최근 3개월간 세전 월급 총액
  • 퇴직일
  • 생년월일 (나이 기준 계산에 필요)
  • 총 근속기간 (수습기간 및 휴직기간 제외)

mbti 돈 잘 버는 순위 바로가기 👈

실업급여 계산 방법, 공식부터 체크해요

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

실업급여는 단순히 "내 월급의 몇 퍼센트"가 아니라 정해진 계산식에 따라 지급돼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일 실업급여액 = 평균임금 × 60%

단, 지급에는 상한액과 하한액이 적용돼요.

  • 평균임금 = 퇴직 직전 3개월간 총 세전 급여 ÷ 근무일수
  • 2025년 하한액: 1일 64,192원
  • 2025년 상한액(예상): 1일 약 66,000원

만약 계산된 금액이 하한액보다 작다면? → 하한액으로 지급돼요.
반대로 상한액보다 크다면? → 상한액까지밖에 받을 수 없어요.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법, 따라만 하면 돼요!

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

실업급여 계산기를 활용하려면 다음 절차를 따라 주세요.
👉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고용24) 접속
👉 ‘이용안내 → 정책/제도 → 지원금 모의계산’ 메뉴 클릭
👉 ‘실업급여 계산기’ 항목 선택
👉 아래 정보 입력

  • 월 평균 급여 (퇴직금 제외)
  • 퇴직일
  • 생년월일
  • 근속기간

입력을 마친 뒤 ‘계산’ 버튼을 누르면, 예상 수급액과 수급기간이 한눈에 정리되어 나와요.

※ 참고: 모바일에서도 ‘고용노동부’ 또는 ‘워크넷’ 앱을 설치하면 동일한 실업급여 계산기를 사용할 수 있어요.


예시로 보는 실업급여 계산 결과 (2025년 기준)

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

📌 사례 1 – 32세 사무직 근로자, 월급 250만 원, 근속 2년

  • 평균임금: 약 81,522원
  • 60% 적용: 48,913원 → 하한액 기준 미달
  • 1일 지급액: 64,192원
  • 수급기간: 120일
  • 총 예상 수급액: 약 770만 원

📌 사례 2 – 54세 생산직 근로자, 월급 400만 원, 근속 10년

  • 평균임금: 약 130,435원
  • 60% 적용: 78,261원
  • 1일 지급액: 78,261원 → 상한액보다 낮아 해당 금액 그대로 지급
  • 수급기간: 270일
  • 총 예상 수급액: 약 1,782만 원

이처럼 근속기간과 나이에 따라 수급기간이 다르고, 월급에 따라 상한·하한 기준 적용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에 실업급여 계산기로 사전에 시뮬레이션 해보는 게 중요해요.


수급기간은 어떻게 결정될까요?

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

수급기간은 기본적으로 고용보험 가입기간연령에 따라 아래 기준으로 정해져요.

고용보험 가입기간 50세 미만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1년 이상 ~ 3년 미만 120일 180일
3년 이상 ~ 5년 미만 150일 210일
5년 이상 ~ 10년 미만 180일 240일
10년 이상 ~ 20년 미만 210일 270일
20년 이상 240일 270일

※ 특수고용직, 프리랜서, 단기 근로자 등은 별도 기준이 적용될 수 있어요.


실업급여 계산 시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

  • 세전 급여 기준으로 입력해야 해요. 실수령액(세후 금액) 아님!
  • 퇴직금은 포함하지 말기 – 순수 월급만 입력해야 정확해요.
  • 휴직 기간, 수습 기간은 평균임금 산정에서 제외될 수 있어요.
  • 근무일수 정확히 입력하지 않으면 계산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요.

실업급여 상한액도 꼭 확인해요!

아무리 고소득자라고 해도 실업급여는 상한액 이상의 금액을 받을 수 없어요.
2025년 기준, 상한액은 1일 약 66,000원, 월 기준 약 198만 원으로 예상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월급이 500만 원인 분도 실업급여 계산기에서는 상한액 기준으로 금액이 제한된다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실업급여에 세금이 붙을까?

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

다행히도 실업급여는 비과세 항목이에요!
종합소득세에 포함되지 않으며, 연말정산 시에도 별도 신고할 필요가 없어요.

단, 실업급여 수급 중에 다른 소득(프리랜서, 부업 등)이 발생한다면 그 부분은 과세 대상이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겠죠.

실업급여 계산기로 내 권리부터 챙기세요

실업급여는 ‘누구나 받는 돈’이 아닌, 정확한 요건 충족과 계산 결과에 따라 지급되는 제도입니다.
막연히 받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하기보다, 실업급여 계산기를 통해 내가 받을 수 있는 정확한 금액과 기간을 체크해 두는 게 무엇보다 중요해요.

퇴사라는 인생의 전환점에서, 경제적인 안정감을 미리 확보하려면 지금 바로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부터 시작해보세요!
나의 권리를 놓치지 않는 것이 현명한 첫걸음이에요 😊

✅ 실업급여 계산기 요약표

항목내용
실업급여 계산기란? 고용노동부·워크넷에서 제공하는 수급액/기간 자동 계산 시스템
필요한 입력값 세전 월급, 퇴직일, 생년월일, 근속기간
계산 공식 1일 실업급여 = 평균임금 × 60% (단, 상·하한액 적용)
하한액 (2025) 64,192원
상한액 (2025 예상) 약 66,000원
계산기 접속 방법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 이용안내 → 정책/제도 → 지원금 모의계산
모바일 이용 고용노동부 또는 워크넷 앱에서 동일 기능 제공
🧮 실업급여 실제 계산 예시 (2025년 기준)
항목예시 1 (사무직, 32세)예시 2 (생산직, 54세)
월급 250만 원 400만 원
평균임금 81,522원 130,435원
60% 적용 48,913원 78,261원
지급액 64,192원 (하한 적용) 78,261원 (정상 적용)
수급기간 120일 270일
총 예상 지급액 약 770만 원 약 1,782만 원
⏱ 수급기간 결정 기준
고용보험 가입기간50세 미만50세 이상 / 장애인
1년 ~ 3년 미만 120일 180일
3년 ~ 5년 미만 150일 210일
5년 ~ 10년 미만 180일 240일
10년 ~ 20년 미만 210일 270일
20년 이상 240일 270일
⚠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 시 유의사항
항목주의사항
월급 기준 세전 금액 기준 입력 (실수령액 아님)
퇴직금 포함하지 않음 (순수 월급 기준)
휴직/수습 기간 평균임금 산정 시 제외될 수 있음
근무일수 정확한 입력 필요 (오차 발생 방지)
💰 실업급여 관련 세금
항목내용
세금 여부 실업급여는 비과세 항목
연말정산 별도 신고 불필요
예외 수급 중 프리랜서·부업 소득 발생 시 과세 대상

💬 실업급여 계산기 관련 Q&A 모음

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실업급여 계산기

Q1. 실업급여 계산기에서 입력해야 할 정보는 무엇인가요?
A. 계산기를 사용하려면 다음 정보를 입력해야 해요:

  • 최근 3개월간 세전 월급
  • 퇴직일
  • 생년월일
  • 근속기간
    정확한 결과를 위해 퇴직금은 제외하고 순수 월급 기준으로 입력해 주세요.

Q2. 실업급여 계산기에서 나온 금액이 실제 지급 금액과 차이가 나는 이유는?
A. 입력값 중 평균임금, 근속기간, 근무일수 등이 정확하지 않으면 오차가 생길 수 있어요. 특히 휴직기간이나 수습기간이 포함될 경우 평균임금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실제 근무일수 기준으로 입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3. 상한액, 하한액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A. 실업급여는 평균임금의 60%를 기준으로 지급되지만,

  • 하한액(2025년 기준: 64,192원)보다 적으면 하한액으로 지급
  • 상한액(2025년 기준 추정: 66,000원)보다 많으면 상한액까지만 지급됩니다.

Q4. 실업급여 계산기를 모바일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고용노동부’ 또는 ‘워크넷’ 앱을 설치하면 모바일에서도 실업급여 계산기를 이용할 수 있어요. 앱 내 ‘모의계산’ 메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Q5. 실업급여는 세금이 부과되나요?
A. 아닙니다. 실업급여는 비과세 소득이라 종합소득세나 연말정산 시 별도 신고가 필요하지 않아요. 단, 수급 기간 중 부업이나 프리랜서 활동으로 수입이 생기면 그 부분은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어요.

Q6. 실업급여 수급 기간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A. 고용보험 가입기간과 나이를 기준으로 수급일수가 달라져요.
예를 들어, 50세 미만이 3년 이상 가입했다면 150일, 50세 이상은 210일까지 받을 수 있어요. 최대 270일까지 가능해요.